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활용

공공데이터로 알아보는 월별 전기요금 가장 많이 오르는 지역은 어디일까?

by 2공공2 2025. 4. 3.
반응형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로 확인한 에너지 사용량의 지역별 차이

전기요금이 유독 많이 나온 달이 있으면 괜히 고지서를 한 번 더 들여다보게 돼요. 특히 여름철 에어컨, 겨울철 전기난방을 자주 사용하는 집이라면 월별 전기요금 차이가 꽤 크게 느껴질 수 있죠. 그런데 실제로 전기요금이 가장 많이 오르는 지역이 따로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 올라온 에너지 사용량 통계를 살펴보면, 계절에 따라 요금이 급등하는 지역과 시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요금이 왜 많이 나오는지 궁금했던 분들이라면, 이번 글에서 그 답을 조금은 찾을 수 있을 거예요.

 

먼저 여름철에는 수도권과 대도시 지역에서 전기 사용량이 크게 늘어나는 경향이 있어요. 서울, 경기, 인천, 대구 같은 지역은 7~8월 사이 에어컨, 제습기 등의 냉방기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월 평균 전기 사용량이 전월 대비 20% 이상 늘어나곤 해요. 특히 서울 강남구나 성남시 분당구처럼 가전제품 보급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누진제 구간에 진입하는 가구도 많아서 전기요금이 더 가파르게 오르기도 해요. 반면 겨울철엔 강원도 산간지역이나 제주도처럼 전기난방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전기요금 증가가 두드러져요. 같은 나라 안에서도 계절과 지역 특성에 따라 에너지 소비 양상이 꽤 다르게 나타나는 거죠.

 

이런 전력 소비 차이는 누진제 요금 체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전기는 일정 사용량을 초과하면 구간별로 요금 단가가 올라가게 돼요. 예를 들어 수도권 아파트 단지처럼 한 달 동안 여러 대의 가전제품을 동시에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사용량이 빠르게 누적돼 누진구간에 진입하기 쉬워요. 공공데이터 기준으로 보면 경기 남부 일부 지역의 가정에서는 7월에서 8월 사이 전기요금이 평소보다 약 1.4배까지 오른 사례도 있었어요. 반대로 농촌 지역은 전체적인 사용량은 적지만 전기난방을 많이 사용하는 겨울철에는 순간적인 요금 급등이 발생할 수 있어요. 주거 형태나 생활 방식이 요금에 그대로 반영되는 셈이에요.

 

이제는 전기요금을 단순히 사용량에 따른 결과로만 보기보다는, 내가 사는 지역과 계절 특성까지 고려해서 관리하는 게 필요한 것 같아요.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에서는 ‘전기요금’, ‘가정용 에너지 사용량’, ‘누진제 구간 통계’ 같은 키워드로 다양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어요. 데이터를 조금만 살펴보면 우리 집의 전력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요금이 많이 오르는 시기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답니다. 에너지 절약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미리 알고 대비하는 게 더 효율적이에요.

이번 기회에 데이터를 한번 확인해보면서 우리 집의 전기 사용 습관을 돌아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LIST